블로그 이미지
progh2
지루한 것에서 벗어나 재미난 것 속으로 풍덩~☆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Notice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추가:
ip조회를 해보니 트랙백들이 전 세계에서 온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_-;
도쿄, 베이징, 한국 송파구, 오스트레일리아, 그 외 지역...
해외의 서버를 크래킹, 스팸 트랙백을 보내는 짓을 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하고 생각됩니다. 에휴..

위와 같은 경우라면 뭔가 서비스 하는 곳이어야 할텐데 특별히 서비스하는 곳이 없는 것으로
보아 서버는 아닌 것 같습니다.
역시 웜이라든가 그런류일까요...    -ㄱ-

-----

1월 9일동안만 스팸 트랙백이 238건이나 도착했습니다.
물론 ip접근을 막아놨기에 이정도지, 그렇지 않았다면 몇 배나 더 늘었을지도 모릅니다.

그런데 이번 스팸 트랙백의 양상은 꽤 특이했습니다.
아이피가 같은 경우가 몇 건 없었습니다. 물론 내용은 똑같습니다만 -_-

이해할 수 없는 것은, 이렇게 다양한 아이피를 어떻게 확보할 수 있냐 하는 것입니다.
아이피 대역이 몰려있는 것도 아니고, 너무나 다양합니다.
유동아이피를 쓴다고 하더라도 이렇게 다양하게 나타낼 수 있는 법은
'사람이 직접 설정'하는 법으로 가능할지 의문입니다.

다른 방법이라면 웜이나 백도어로 자동으로 퍼져나가게 하는 방식으로
퍼트리는 방법 정도가 있겠습니다만....

다음은 이번에 수집된 스팸 트랙백을 보낸 ip 리스트입니다.
이걸 다 ip공유기에 넣어버릴까 생각하니 차라리 블로그를 티스토리로 옮겨버리는 것이
나은 방법이 아닌가 하는 생각마져 들어버리는군요.

58.12.74.195
58.143.1.42
60.195.250.90
60.217.227.136
60.217.227.140
60.217.227.141
60.217.227.142
60.217.227.143
60.217.227.145
61.7.47.253
61.240.111.196
64.8.149.34
64.34.194.102
66.98.134.34
66.139.76.245
66.139.77.214
66.90.103.243
69.64.51.47
72.232.218.186
81.15.247.180 
83.103.40.4
121.139.6.142
124.38.172.229
124.57.18.63
125.103.11.123
194.90.18.23
198.170.192.10
201.17.46.147
201.212.167.190
202.7.166.167
207.58.230.66
207.150.176.14
207.234.131.237
207.250.40.21
208.101.13.210
210.238.121.45 
211.38.236.226
211.211.57.73
212.68.193.242
217.153.161.150
218.115.68.1
218.145.132.228
218.232.138.153
218.236.204.157
219.9.190.102
219.134.131.142
219.207.68.246
220.64.122.27
220.86.90.222
220.90.161.188
220.118.114.176
220.151.89.104
220.191.169.46
221.94.188.37
222.76.215.173
222.109.20.203
posted by progh2
거의 유일무이한 팜 프로그래밍 책인 Palm OS Programming 책을 보고
따라하다보면 아마도 최초로 겪는 일은
윈도우 XP에서 요상한 에러를 내서 짜증내면서 포기하는 일을 처음 겪고,
윈도우98 등 구형 O/S를 찾아서 설치하게 될 것입니다. -_-
어쩔 수 없죠. 이 개발툴이 윈95, 98, NT에서 돌아가게 만들었다니...
호환성 모드도 제대로 작동 못하는 녀석은 방법이 없는..

저는 노트북에 딸려온 윈미에다 설치했습니다. 윈98이나 윈미나 그게 그거니..
(...윈미땅님아 조용히 있어 주세요 )

정말 활동적인 어바웃 -_-. 즐~

까탈스러운 코드워리어 6 라이트님(...)


그래서 책에 나온 불칠전한 지시대로 머리를 굴려가며 따라하다보면
첫 작업부터 에러를 때려줍니다.

일단 디버깅을 위한 콘솔모드 진입에 관한 부분인데,
콘솔문자(오메가라고 할까요? 필기체로i 문자) + .. + 2 로 들어가라고 하는데
이것에 관한 내용은 이전이전 포스팅에 남겼으니 참고하시고,
근본적으로 제가 가진 SJ33은 usb 연결이라
시리얼 포트 연결만을 제공했던 구형 팜을 염두해서 만들어진 이 코드워리어 6 lite에서는
어찌 실행할 방법이 없더군요.
코드워리어9에서는 가능한 것 같던데... 뭐 일단 급한 것은 아니니
좀 더 익숙해지고 넘어가도 상관없다 생각해서 이 부분은 패스.

그 다음 예제.
오, 첫 예제입니다. 헬로~ 버튼을 만들어 보는 예제군요.
역시나 불친절한 설명대로 따닥따닥 따라해서 두근두근거리며
Make 버튼을 눌러주면 땅~ 때려주는 에러.

시작하자마자 에러 메시지가!

starter.tmp 파일 에러에유~


네. 역시 시작하자마자 불친절한 에러가 땅하고 뜹니다.
책에는 이런 내용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고 있고..
이 책을 봤을 다른 분들은 어떻게 해결했을지? -_-;;
이리저리 메뉴 굴리며 찾아봐도 생뚱맞고 어찌해야할지 알 수 없는 에러에
난감해하다 구글신님께 여쭤봤습니다.

...하지만 그다지 도움될만한 내용은 없더군요.
다만 한국에서 저랑 비슷한 상황을 겪은 분들이 많다는 것 -_-;
그래서 클리앙도 뒤져보고, kpug도 뒤져보고..하다가 kpug의 개발자 게시판에서
해답을 알아냈습니다. -_-+

장대원이란 분이 쓰신 답변글에 대답이 나와 있더군요.
그래서 그분 말대로

설명메뉴 위의 메뉴

프로젝트 이름마다 Setting 앞의 이름이 바뀌어서 이렇게 표현할 수 밖에..


설정메뉴 바로 위의 메뉴로 들어가서

68K Target

68K Target 항목의 "File Name"과


rez post linker 설정

rez post linker 설정에서 "Mac Resource Files"을


위 화면처럼 같게 설정해줍니다. 기본 설정으로는 다르게 되어있습니다.
어째서 이러한 내용이 책에는 빠져있는 것인지 좀 궁금하군요.
임시로 생성되는 파일인듯하니 적당한 이름으로 만들어주면 될 것 같습니다.
posted by progh2
사용자 삽입 이미지
네. 어느덧 생일이군요.
이번해의 생일도 조용히..  집에서 보내게 되었습니다.
제 생일의 날짜의 특이성때문에 얼서부터
피해를 많이 봤습니다.

방 학 때 니 까 요  ㅜ_ㅜ  - _-);;;;

음.. 꽤 암울한 포스팅 |||orz
그래도 집안 가족들은 왜 태어났니, 나이 한 살 더 먹었으니
정신 좀 차리라는 등의 생일 축하(??)를 해줬습니다.
생일케이크...는 바로 전 달, 동생 생일 때도 먹었으므로 피자로 대체(...)

작년에는 이런 저런 사람들 모여서
한잔하며 생일을 보내려고 했었는데, 제가 갑자기 아파서 포기했었던 것이
기억에 남습니다. 아, 이건 재작년 일이었던가?; 가물가물하네요.

내년에는 이런저런 사람들을 모아서 시끌벅적하게 보내봐야겠습니다.
역시 경제적으로 수입이 특별히 없으니
이러한 모임을 만드는 것, 가는 것에 부담이 느껴지는군요.  ㄱ-

아무튼 이런 우울한 날에 생일 선물을 보내준 치우군에게 감사합니다.
"예수와 함께한 저녁식사"라는 책을 보내줬네요. 치우답다고 할까.
어제 월요일에 택배가 도착할 수 있을까라는 질문이 이런 의도였군요. 흠흠  =ㅂ=)r
posted by progh2

팜 디바이스에서 콘솔모드를 불러오는 방법

this is the list of specials shortcuts

.1
The device enters debugger mode and waits for a debugger such as Palm OS Debugger or Metrowerks CodeWarrior to connect. The device appears frozen and unresponsive, awaiting commands from the debugger.
On old 68k monochrome handhelds a square begins flashing in the top left corner of the display. Some color handhelds display a colored line at the bottom of the screen. All other handhelds will not indicate that they are in debugger mode.

The device must determine whether to open the USB port or the serial port. Most devices determine whether they are attached to a USB cradle and open the appropriate port. Handspring devices require a utility called DebugPrefs so you can specify which port should be used. This utility is available from Handspring's developer program.

NOTE: Debug mode drains significant battery power. You must perform a soft reset to exit this mode.

.2
The device enters console mode and waits for communication, typically from a high-level debugger.
The device must determine whether to open the USB port or the serial port. Most devices determine whether they are attached to a USB cradle and open the appropriate port. Handspring devices require a utility called DebugPrefs so you can specify which port should be used. This utility is available from Handspring's developer program.

Another convenient way to put the device in console mode is to use the sample application.

NOTE: Console mode drains significant power over time. You must perform a soft reset to exit this mode.

There is no need to enter console mode using this shortcut when running the Palm OS Emulator or the Palm OS Garnet simulators, as they always support a debugger connection..


.3
The device's automatic power-off feature is disabled.
You can still use the device's power button to power it on and off. You must perform a soft reset to exit this mode.

.4
Displays the user's name.
None

.5
Erases the user's name and user ID.
WARNING: When the device is next synchronized after using this shortcut, the HotSync Manager application thinks that it has never been synchronized before. This means that records will be duplicated unless you first perform a hard reset (press the reset button while holding the power key).

.6
Displays the Palm OS build date and build time.
None

.7
Switches between NiCd and Alkaline battery curves to allow adjustment of when the battery warnings appear.
Of limited effectiveness. Low battery warnings do not work well with NiCd batteries.

.8
Toggles the backlight mode on a Palm IIIx or Palm V.
One mode is the default backlighting mode of the Palm IIIx and Palm V where the display is inverted when the backlight is turned on. The other mode is the default backlighting mode of the Palm III where the display is not inverted when the backlight is turned on.

NOTE: Restoring a Palm IIIx or Palm V from an existing user may overwrite the shortcut database and cause this shortcut to be lost.

.9
Displays the ROM build date and build time.
This command is not available on some devices.

.t
Toggle IR test loopback mode.
This mode is useful for debugging applications that beam data. Enabling this mode causes beamed data to be immediately received on the same device (ie: the IR hardware is bypassed). This is useful for testing your beaming or exchange manager code.

NOTE: Enabling this mode will cause more stack space to be used than a normal beam.

.i
Initiates a beam receive.
Using this shortcut will cause the device to begin waiting for a beam.

.s
Infrared serial mode toggle
This shortcut toggles the output port of infrared data between the built-in IR port and the built-in serial port.
posted by progh2
제가 집서버에서 운영하고 있는데, 그 전에 ip공유기를 통해서 연결됩니다.
지금 쓰고 있는 iptime.org 도메인도 이 공유기 덕에 공짜로 이용하고 있는 것이지요.  =ㅂ=)r

아무튼 최근 열심히 스팸 트랙백을 보내주는 스패머들로 인해
한가해야할 집서버의 cpu 사용률이 치솟는 현상이 계속 되었습니다.
물론 원인 중 하나는 현 테터툴즈 버전 문제도 있겠지만 이건 다음 버전에서
다소 해결될 것이라고 하니 기다리기로 하고,
좀 귀찮지만 해당 스패머들의 ip를 ip공유기 단에서 막기로 한 것이죠.

결과야 말할 것도 없지요. 블로그의 트랙백 휴지통이 깨끗한 것이 속이 시원합니다.  >ㅂ<)  ㅋ
이전에는 하루에 3000건은 기본으로 쌓이곤 했는데 말입니다.

ip발신지를 조작할 수 없다는 것이 다행이란 생각이 들더군요.
조작해서 보낸다면.. 정말 이런 대책마져도 없을 테니까...  =ㅅ=)
posted by progh2
이전에 티스토리로의 이전을 고려했었습니다만
티스토리가 제 백업파일을 거부하는 관계로 포기했습니다.
음.. 티스토리는 구조상 10메가 이상 넘어가는 파일을
업로드 못하게 되어 있더군요.
파일당 20메가 였던가 하는 제한도 있던 것 같기도 하고..
(하지만 총 용량 제한은 없는..)

이러한 제한은 2기가급에 달하는 제 백업파일을 당해낼 수가 없습니다.
하하하하하하  =ㅂ=)r  ㅋ  ㅋ

...애초에 그러한 파일들은 따로 디렉토리에 업로드해서 링크를 건다던가 해야 하는 것인데 말입니다.
 ㄱ-  - _-);;;;

뭐.. 어쨌거나 서비스형으로의 이전은 이제 생각하지 않기로 했고,
이 테터툴즈 블로그에 수정을 가하는 방향으로 가기로 했습니다.
주로 이거 안된다 저거 안된다 불평만 하고 살았는데,
2007년을 맞이하여 긍정적으로, 주도적으로 살아보기로 했습니다.  ㅇㅅㅇ  !!
posted by progh2
이 에러사항을 해결하기 위한 스스슥 급조한 블로그 설명 날리는 php 파일입니다..

압축을 풀어 안에 있는 php 파일을 테터툴즈가 설치된 곳(예를들어 public_html/tt )에
업로드한 후 해당 URL로 접속을 한번 해주면 끝입니다.
단 해당 문제가 해결되면 반드시 이 파일을 삭제해야 합니다!!!

접속하는 곳은 http://당신의url/tt블로그설치디렉토리/remove_tt_description.php 로 접속하면 됩니다.

저의 경우라면
http://cloou.iptime.org/tt/remove_tt_description.php 가 되겠지요.

얼마나 초라한 코딩실력인지 보시라면 아래 링크로 들어가 보시면 됩니다.  =ㅅ=)  뷁
http://cloou.iptime.org/tt/remove_tt_description.phps

posted by progh2
테터툴즈 게시판에 가보면, 이런저런 다양한 문제점들이 나타나 있습니다.
그리고 대부분의 경우, 간단히 해결할 수 있는 경우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특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php 프로그램이나 mysql에 접속해서 처리해야 하는 등의 경우가 있었습니다.
이러한 경우 해당 계정의 아이디/암호가 필요하기 때문에,
실제로 작업한다면 시간이 얼마 걸리지 않지만
이런저런 문제( 보안 등 껄끄로운 )로 답변이 달리지 않는 등의 일이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수정할 수 있는 특별한 툴이 있으면 좋겠다...라는 생각이 들어
뭐 하나 만들봐야 겠습니다.
완전히 녹이 쓸어서 돌아가지 않는 머리를 좀 회전시켜서..

딱히 해도 저 자신에게 별 도움이 안되는 이러한 것에 왜이리
관심이 가는 것인지... 정말 알 수 없습니다. 에휴..  ㄱ-  뷁

그리고 이것 말고도
제가 쓸 용도로 클래식에 있는 글 작성 모드를 현 블로그에서 작동할 수 있게
뜯어오는 방안도 좀 생각해 봐야겠습니다.
매번 꺽쇠비알슬래시꺽쇠를 작성하는 것도 슬슬 짜증도 나고,
미리보기가 새창 뜨는 것도 그렇고,
html모드가 아닌 모드(일반모드?)만 뜨면 종종 한글이 씹혀먹질 않나
이런저런 자바스크립트 오류가 나서 글도 날리기도 하고....
이게 사실 블로깅 하는데 가장 급한 문제로군요. 어흠...

posted by progh2